안녕하세요! 따스한 봄기운이 물러나고 점차 더워지고있는

5월 작약 재배지의 방문글 입니다.

작약꽃들의 봉우리가 점차 피기 시작한다하여

아름다운 꽃과 함께 잘 크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CCS농가에 들리게 되었습니다!

올해는 예년보다 기온이 따뜻하고 비가 잘 내려주어 문제없이 자라주었고

겉으로 봐도 건강하게 잘 성장하는게 눈에 띄었습니다!

작약은 병이 잘오는 약재로 예방을 잘 해주어야 하는데요.

흰가루병이나 탄저병등에 취약해서 초기에 잘 대처해야하며

그로인해 약용으로 쓰이는 뿌리가 굵어지고 약성이 좋아진다고 합니다.

저희 옴니허브에서 관리하는 작약은

청정지역인 장수에서 건강하게 아무 문제없이 잘 자라고 있고

올해도 힘 좋은 작약을 선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 옴니허브는 늘 꼼꼼한 확인과 검사를 하고 있으며,

CCS시스템을 통해 확실하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늘 농가에서 고생해주시는 분들에게 감사함을 느끼고

저희 옴니허브도 매년 산지로 직접 찾아가 꼼꼼하게 확인하며

약재들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더욱 만족할 수 있도록 늘 정성을 가지고 키워내고 만들어 내겠습니다.

옴니허브의 프리미엄 한약재로 직접 느껴보세요!

안녕하세요! 프리미엄 한약재를 위해 오늘도 열심히 달리는 옴니허브입니다. (๓´˘`๓)♡

저희 옴니허브는 지난 3월, 노근과 작약을 보러 거창에 다녀왔었는데요!

2달여가 지난 5월 14일, 이번에는 자소엽과 두충, 작약을 보러

다시 한번 경남 거창으로 향했습니다.


↓↓↓노근·작약 산지 답사기 보러가기 ↓↓↓


첫 번째로 찾아간 곳은 거창에서 그리 멀지 않은

경남 산청군의 강변 옆 언덕에 위치한 자소엽 밭입니다.

이 날은 코로나로 인한 농가의 일손부족을 계기로

옴니허브 직원들이 손발 걷고 도움을 드리러 방문한 것인데요!

이른 아침에 도착했음에도 이미 작업이 한참중인 농가 분들의 분주한 모습을 보니

더욱 발 빠르게 움직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업내용은 하우스에서 포트묘재배한 자소엽을 이식하는 과정입니다.

멀칭비닐에 직접 구멍을 내서 자소엽 모종을 이식을 한 후, 충분히 흙으로 덮어주었습니다.

강한 햇빛으로 흙이 말라있었기에 자소엽 모종에 물을 충분히 먹여준 후 작업합니다.

또한 자소엽 포함 풀약초들은 약용부위가 전초로서 생육시 옆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이식 작업해야한다고 해요!

단순한 일이지만 농사의 고단함을 제대로 느끼는 시간이었습니다.

쪼그려 앉아서 하는 작업이다보니 여기저기서 곡소리가 난 건 비밀..! (。・・。)

어딘가 지쳐보이는 옴니허브 직원들의 뒷모습…^^;

약 2시간동안 10명에 가까운 인원이 쉬지 않고 작업하여 이식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이렇게 심은 자소엽들은 잘 키워서 올해 8월에 수확된다고 하니 벌써 기대가 되네요!

제발 잘 자라주기를! ✧。٩(ˊᗜˋ)و✧*。


다음은 경남 거창으로 돌아가 두충작업 현장으로 향했습니다.

깊숙한 곳에 위치한 청정구역의 두충만을 사용하는데요!

밭일에 이어 산행까지! 청정약재를 위한 옴니허브와 CCS 농가분들의 노력이 보이시나요? (¬◡¬)✧

산에서 두충나무를 찾아 거피하기 쉽도록

적당히 토막 낸 뒤 필요 부분인 껍질을 벗겨냅니다.

나무 껍질을 벗겨내는 것이 어렵진 않을까 생각했지만 생각외로 굉장히 잘 벗겨집니다.

특히나 두충 작업은 항상 이맘때쯤 진행이 되는데

이는 두충이 수분을 위로 끌어올리기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이로인해 껍질이 아주 잘 벗겨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껍질만 벗겨내면 옴니허브의 두충이라 볼 수 없겠죠.

껍질 곁 표면의 코르크층을 제거해야 비로소 약용부위가 나옵니다.

이과정을 거친 것을 거피두충이라 하는데

이렇게 거피까지 완료된 것만이 옴니허브에 납품됩니다.

옴니허브는 좋은 약재를 유통하기 위해 생산로스를 감안하고

약재본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방문한 곳은 작약꽃이 무성한 CCS작약 재배지입니다.

이전 3월에 방문했을 때 비료를 뿌려주었던 밭인데요!

그 사이 이렇게나 많이 자라있었습니다.

현재 2년생이고 4년근까지 재배하는 품종입니다.

작약꽃이 정말 아름답죠! ٩(๑❛ᴗ❛๑)۶

보통 작약이라하면 관상용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겹작약을 떠올리실 것 같은데요.

약재로 사용되는 작약은 홑작약이랍니다.

둘의 차이가 명확히 보이시나요? (๑^ ^๑)

작약은 오랜 기간 한자리에서 자라는 품종이라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매년 잡초와의 전쟁을 치루고 있으며

매년 잘 자란 작약을 원활하게 유통하기 위해 밭마다 연생을 달리하여 관리되고 있습니다.


하루동안 농가분들과 함께 이곳저곳 다니며

옴니허브로 오는 약재들이 어떻게 관리가 되는지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농가분들의 많은 정성과 끊임없는 관심으로

훌륭하게 자라고 있는 약재들을 보니 괜히 저희가 다 뿌듯해지네요.

오늘 보고 온 약재들이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별 다른 피해 없이 잘 자라

농가 발전의 밑거름이 되길 희망합니다. «٩(´∀`)۶»


정직한 국산 약재가 주는 힘, 옴니허브의 프리미엄 한약재로 느껴보세요❤︎

어느새 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3월 6일, 저희 옴니허브에서 노근과 작약이 겨울내 어떻게 자랐는지 확인하기 위해 CCS 농가 산지방문에 나섰습니다! ٩(ˊᗜˋ*)و

차를 타고 1시간반이 채 안되게 달려 도착한 곳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반가운 인사도 잠시, 할 일이 많으니 부지런히 차를 타고 근처 갈대밭으로 향했습니다.

갈대밭에 도착하자마자 한숨 돌릴 새도 없이 바로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다소 귀여운 사이즈의 굴착기가 눈에 띄네요.

굴착기로 흙을 퍼낸 다음 잘 털어 노근만 골라내어 수확합니다.

갈퀴를 이용하여 손으로 걸러주기도 합니다.

애써 기르고 수확한 노근이 상하지 않게 조심해서 잘 걸러줘야해요!

이렇게 수확한 노근은 작업장으로 가져가 자연광에서 겉의 흙이 마를 정도로만 건조해줍니다.

세척하기 전 겉의 흙들을 털어내기 쉽도록 하기 위해 꼭 거치는 과정이라고 해요.

건조를 위해 노근은 잠시 말려두고… 이번엔 작약 밭으로 향해봅니다.

수확과정을 볼 수 있었던 노근과는 달리 작약은 아직 수확은 할 수 없었는데요.

대신 작약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비료를 뿌려주었습니다.

열심히 비료를 뿌리시는 사장님을 따라 저희 옴니허브 역시 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작약이 잘 자라주길 기도하며 열심히 뿌링뿌링 ଘ(੭ˊᵕˋ)੭* ੈ✩‧₊˚

여러명이 모여 일을 하니 많은 일도 금새 끝이 납니다.

열심히 노근을 캐고 작약에 비료도 주고 나니 어느새 점심시간!

오후 작업을 위해 든든히 먹고 다시 노근 앞에 앉았습니다.

점심을 먹고 오니 겉의 흙이 어느정도 말라있어 이제 손질 작업에 들어갑니다.

커다란 흙들은 미리 털어내주고 큼직큼직한 가지들만 떼어 정리해줬는데요.

정리가 완료된 노근은 모아서 세척할 수 있는 통돌이로 옮겨줍니다.

요 기계에 손질한 노근을 넣고 호스를 연결하여 물을 넣어주면 통이 돌아가면서 꼼꼼히 세척해줍니다.

굉음을 내며 돌아가는 통에서 흙탕물이 쭉쭉 (ง •̀_•́)ง

투명한 물이 나올 때까지 돌려줘야 깨끗하게 씻긴다고 해요!

깔끔하게 세척되어 나온 노근!

이제 절단하여 건조만 하면 됩니다. ٩(๑❛ᴗ❛๑)۶

노근 뒤로 보이는 기계가 바로 알맞은 크기로 잘라주는 직각기인데요.

잘라질 크기를 직접 조절하고 노근을 가지런히 넣기만 하면 알맞게 쏙쏙 잘립니다.

노근이 절단되어 나오면 절단이 덜 된 아이들은 골라내줍니다.

절단이 덜 된 노근은 모아 다시 한번 절단해준다고 해요.

꼼꼼히 골라내고 있는 저희 옴니허브 직원의 뒷모습!

이렇게 예쁘게 잘렸어요! (*´∪`)

이렇게 잘라주면 잔가지는 어떻게 해야하나? 궁금하실텐데요!

이렇게 잘린 애들을 건조기에 넣어 바싹 말려준 후 세척할 때 사용했던 통돌이에서 호스를 꽂지 않고 돌려주면 잔가지들이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고 해요.

이제 건조기에 넣어주면 오늘의 할 일은 끝!

열심히 농가분들을 돕느라 하루가 총알같이 지나갔네요.

농가분들의 노고를 느끼고 또 이런 철저한 관리와 정성 덕분에 양질의 약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하루였습니다. (๑^ ^๑)

앞으로도 지속적인 CCS 농가 방문을 통해 농가와 협력하여 좋은 품질의 한약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