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날’의 한방차

“蓮은 습한 곳에 살지만 습을 이기고 꽃을 피운다. 산수유의 새콤함은 삶의 희망에 불씨를 지피는 듯하다. 한방차 조합으로 우울함을 날려보내자”

영화 <중경삼림> 한 장면.

설문조사를 통해 차가 마시고 싶어지는 날이 언제인가 물어 보았더니 뜻밖의 답변이 나왔다. ‘우울한 날’에 가장 차를 마시고 싶어진단다. 술 한잔 마시며 우울함을 풀어내고 싶은 것처럼, 차 한잔도 우울함을 달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되는가 보다.

우울한 날을 생각하니 문득 홍콩을 배경으로 한 영화 <중경삼림>이 떠오른다. 뭔가 축축하고, 암울하고, 안개가 낀 듯한 도시에서 일어나는 젊은 군상의 무표정한 사랑과 헤어짐, 그리고 혼자 남아 외롭고 우울한 일상의 반복…. 혹시 이 영화처럼 마음 속 깊이 젖어드는 축축한 습기가 싫어 따뜻한 차 한잔이 마시고 싶어지는 것일까?

필자가 가본 중국의 충칭(重慶)은 인구 3000만명이 넘는 메가시티로 항상 습기가 도시를 감싸고 안개로 인한 비행기 결항이 잦다. 그만큼 햇빛을 보는 시간도 적어 충칭에는 우울증을 앓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우울증은 삶에 대한 관심이나 의욕 감퇴, 디프레스된 기분이나 의기소침, 고독한 느낌으로 인한 상실감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양방에서도 우울증은 세로토닌이란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 생기는 뇌의 병변으로 보고 있다.

우울한 날의 한방차.

멜라토닌은 낮에 적게 만들어지고 밤에 많이 합성돼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밤이 왔다는 것을 알려줘 잠을 유도한다. 멜라토닌은 세로토닌으로부터 만들어 지기에, 햇빛을 비춰주면 멜라토닌은 적게 합성되고 대신 뇌 내의 세로토닌은 많이 분비된다. 그래서 햇볕 조사량이 적은 유럽에서 우울증 환자가 더 많이 발생하며 우울증 치료에 광치료가 유의성을 가진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울함은 인체의 내적 또는 외적 환경으로 인해 생길 개연성이 높다. 우울증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것도 이런 환경적 요인에 여성이 더 취약하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우울한 날에 마시는 차, 즉 우울함을 날려버릴 수 있는 한방차의 조합을 만들 단초가 생겼다.

연잎.

습을 이길 수 있는 약재, 순환을 도와주는 약재, 따뜻함을 더하는 약재, 정열을 상징하는 약재로 군신좌사를 정하니, 하엽, 귤피, 석창포, 산수유가 정해진다. 연잎을 君으로 잡았다. 蓮은 진흙 바탕에 뿌리를 내리고, 물 위로 잎을 펼친다. 항상 습한 곳에 살지만 습을 이기고 아름다운 연꽃을 피운다. 번뇌 망상 우울에서 벗어나 해탈의 밝은 꽃을 피우는 것이다. 그래서 연잎은 ‘우울한 날의 차’의 주재료가 될 만하다.

맛을 만들기 위해 이리저리 조합을 바꾸어 가며 시음을 해본다. 산수유의 새콤함이 삶의 희망에 대한 불씨를 당기는 듯하다. 한방차를 잘 만든다면 현대사회에서 점점 늘어나고 있는 우울증 치료에도 한방차를 이용한 생활한방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허담/ 한의사. (주)옴니허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