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米창출
창출은 焦법, 麩炒법 등의 포제법이 있으나 대부분 법제를 하지 않고 그냥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출에 함유된 정유성분은 燥濕健脾 하는 창출의 燥한 성질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황기蜜炙
황기는 해발이 높은 강원도의 토심(土心)이 깊은 땅에서 잘 자라는데 여러해 묵은 황기는 길이가 1미터가 넘는 경우도 흔합니다. 땅속 깊이 뿌리를 내리고 황천(黃泉)의 기운을 지상부로…

製백부자
風痰을 제거하고 鎭驚작용이 있는 백부자는 부자와 같은 미나리아재비과 식물로 독성이 있고, 약성이 강해 생품으로 쓸때는 주로 외용으로 사용되며 내복용으로는 법제를 해서 사용하는…

부자 흑순편(黑順片)
부자는 독성이 강해 법제를 해서 사용해야 하는 약재이지만, 부자 만큼 그 가공과정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채 이름만 다양하게 유통되는 약재도 드뭅니다.
염부자, 흑순편, 백부편,…